
1. 개요
저는 지금은 평범한 회사원이지만, 취업 전에 직원 4명이 전부였던 카페에서 아르바이트한 적이 있습니다. 5월이 다가오면 항상 궁금했던 게 있었죠.
“근로자의 날이라고 하던데, 나도 쉬어야 하는 걸까?”
“출근하면 시급이 더 나오는 건가?”
그때는 아무런 설명도 못 들은 채, 평소와 똑같이 일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직장인이 된 지금은 5월 1일을 유급휴일로 쉬고, 출근하는 동료에게는 수당까지 붙는 걸 보며 그때 내가 받지 못한 건 아닌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 근로자의 날 유급 무급 여부(2025년 근로자의 날이 어떤 날인지, 누구에게 적용되고, 유급인지 무급인지)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2. 2025년 근로자의 날은 언제?
2025년 근로자의 날은 5월 1일 목요일입니다. 달력에는 평일로 표시되지만, 근로기준법상 유급휴일로 지정된 특별한 날입니다.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직원은 출근하지만, 민간 근로자들에게는 매우 중요한 유급휴일이죠.
3. 근로자의 날, 공휴일인가요?
근로자의 날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른 공휴일은 아닙니다.
근로기준법에 따라 민간 근로자에게만 적용되는 유급휴일입니다.
따라서 공무원, 교사, 군인, 공공기관 종사자 등은 이날 정상 출근합니다.
4. 근로자의 날, 유급인가요?
정답은 “네, 유급입니다.”
단, 이 혜택은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적용됩니다.
5인 이상이면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를 막론하고 유급휴일로 보장되며,
이를 어기면 사업주는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반면 5인 미만 사업장은 근로기준법 적용 예외로, 무급으로 처리되거나 출근을 요구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5. 근로자의 날, 누구에게 적용될까?
근로자의 날은 모든 근로자에게 일괄 적용되는 날은 아닙니다.
적용 여부는 사업장 규모, 근로 형태, 고용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5인 이상 사업장에 근무하는 정규직 근로자는 유급휴일로 쉬는 것이 보장됩니다.
계약직, 아르바이트 근로자도 5인 이상 사업장 소속이라면 시급 포함 유급휴일 적용 대상입니다.
단, 근로계약서에 따라 적용 여부는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반면 5인 미만 사업장은 법 적용 예외이기 때문에 유급 보장이 의무는 아닙니다.
사업주 재량에 따라 무급 또는 출근 요구도 가능합니다.
공무원 및 공공기관 종사자는 근로자의 날이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출근 대상입니다.
단시간 근로자(주 15시간 미만), 파견직, 프리랜서, 학생 인턴 등은 근로자 여부와 계약 형태에 따라 적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구분 | 근로자의 날 적용 여부 |
정규직(5인 이상) | 유급휴일 적용 |
계약직·알바(5인 이상) | 유급휴일 적용, 계약서 확인 필요 |
5인 미만 사업장 | 적용 강제 아님, 무급 가능 |
공무원·공공기관 | 출근 대상, 적용 제외 |
단시간 근로자 (주15시간 미만) | 원칙적 적용 제외 |
파견·용역·프리랜서 | 계약내용에 따라 달라짐 |
6.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면 수당을 받을 수 있을까?
근로기준법이 적용되는 5인 이상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근로자의 날에 출근하면 고용 형태에 따라 받게 되는 급여가 다릅니다.
6.1. 시급제 근로자
만약 시급 또는 일급제로 근무하는 근로자라면 하루치의 통상임금에 더해 통상임금의 1.5배인 휴일근로 수당이 추가 지급됩니다.
즉, 총 2.5일분의 급여가 지급되는 구조입니다.
유급 휴일수당 100% + 휴일 근로 임금 및 수당 150% = 250%
예를 들어 시급 10,000원으로 8시간 일한 경우,
10,000원 × 8시간 × 2.5배 = 총 200,000원입니다.
6.2. 월급제 근로자
월급제 근로자라면 150%만 지급됩니다.
휴일 근로 임금 100% + 휴일 근로 가산 수당 50% = 150%
휴일 근로 가산 수당은 근로계약서와 관계없이 법적으로 보장되며,
지급되지 않으면 사업주는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7. 마무리(2025 근로자의 날 유급 무급)
2025년 5월 1일 근로자의 날은 사업장의 규모와 고용 형태에 따라 유급/무급 여부가 달라집니다.
5인 이상 사업장 소속 근로자라면 유급휴일로 쉴 수 있고, 출근 시에는 수당까지 보장됩니다.
반면, 5인 미만 사업장, 공공기관, 단시간 근로자 등은 적용 제외일 수 있어
자신의 근로계약 내용을 꼭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제가 예전에 겪었던 혼란을 다른 분들이 반복하지 않도록, 이 글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26년 근로자의 날에 대해서는 추후 업데이트하고 링크로 연결하겠습니다.